불교계 4·3피해 보상책 제시하라
상태바
불교계 4·3피해 보상책 제시하라
  • 제주불교
  • 승인 2005.03.28 12: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 4·3사건 제57주년을 맞는다. 2003년 12월 제주 4·3사건 진상보고서가 발간된 이후에 벌써 1여 년이 지나고 있지만 4·3관련 사업추진은 계획대로 차분하게 진행되지 않고 있다.

정부와 제주도가 추진하고 있는 주요 사업으로는, 제주4·3평화공원 조성, 평화재단 설립 및 운영, 4·3사건 수형자의 희생자 결정, 후유장애자 지원, 4·3유적지에 대한 조사 및 보존관리계획 등을 꼽을 수 있다.

지난 1월 27일 정부에서 제주도를『세계평화의 섬』으로 지정하고 선포함으로써 평화공원 조성, 평화재단 설립 등은 그 추진에 매우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4·3사건 중앙위원회에서 지난 3월 17일 50여 년 전 전국 각지의 형무소로 끌려가 억울하게 숨져간 이른바 수형인 606명을 희생자로 심의, 의결하는 역사적인 결정이 있었기에 앞으로 미결정된 4,513명에 대해서도 올해 안에 마무리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런데, 이런 사업추진과 병행하여 지난해 7월 1차 마무리된, 제주도와 제주4·3연구소가 합동으로 실시하고 있는 4·3유적지조사사업은 4·3유적지에 대한 보전관리계획 마련과 역사의 교육장으로 활용하기 위함에 있을 뿐, 4·3사건으로 인해 소실된 35개 사찰과 스님 16명의 인명피해에 대한 진상규명과 공적 보상의 법적 근거마련에는 소홀히 하고 있다.

제주4·3사건으로 인한 제주불교 본사인 관음사의 소실 등 제주불교의 인적, 물적 피해는 결과적으로 해방이후 도내 불교계 최대 과제였던 왜색불교 청산과 불교 의식개혁의 좌절을 초래했다는 점에서 제주불교 전체가 상심하고 한탄하는 일이었다.

사실이 그러함에도 아직까지 제주불교계의 피해규모를 상세히 조사하여 공적 보상대책을 마련하지 못한 것은 제주 4·3역사를 바로 세웠다고 할 수 없다.

이와 관련하여 제주 불교계 스스로 자체적으로 4·3문제를 공론화하고 4·3의 해결을 위한 중지를 모으는 쪽으로 방향 선회를 해야 할 것이다.

현재 관음사가 수년 째 주최하고 있는 천도재, 위령음악제, 문학상 제정 등의 4·3관련 행사가 도민들로부터 공감대를 얻고 있으므로 이런 신뢰를 바탕으로 하여 도내 불교계가 자체적으로 4·3전담기구를 구성해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정부와 제주도정에 대하여 문제인식을 정확히 심어줘야 할 것이다.

끝으로 4·3당국은 사업추진과 주체를 선정함에 있어서 불교계와의 기능적 역할분담이 이뤄지도록 지속적 관심과 배려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