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천 김대규 화백의 제주불교 화첩기행 [15] - 것구리오름 보문사(普門寺) 터
상태바
로천 김대규 화백의 제주불교 화첩기행 [15] - 것구리오름 보문사(普門寺) 터
  • 제주불교신문
  • 승인 2021.02.24 14: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로천 김대규 화백 프로필● 한국화가(화력 45년)● 아산 조방원 선생, 희재 문장호 선생에게 사사● 개인초대전(22회): 국내 18회, 외국 4회● 먹그림발표전시회: 수묵동호회 주최 5회● 국가중요무형문화재 판소리 고법 이수자(1978년)● 국악 단독 공연 2회 -서귀포 김정회관: 판소리5 바탕눈대목 150분연창(2009) -제주아트센터 판소리 수궁가 완창(2010)● 국악대공연 주최 5회(2008~2016)● 마라톤 완주 5회 (춘천, 평화, 제주 등) ● 시문학 시인등단● 전남도립국악단 객원● 아세아미술대전 초대작가● 한국미술대전 초대작가● 한국미술작가협의회 초대작가● 한일교류전 초대작가● 제주관광대학 음악과 강사● 미얀마 명상수행체험(쉐우민, 파욱센터) 2016~● 저서 -시화첩1: 지금도 부르고 싶은 사랑가(2001) -판소리 수궁가 김대규 완창본 사설집(2017) -산문집 [로-에피소드] (2019) -시화첩2: 섬은 있네(2020)

 

고려폐사지 보문사

● 소재지 ; 제주시 조천읍 대흘리
             1230번지 일대
● 시대 ; 고려
● 유형 ; 불교유적(사찰 터)

북제주군의 문화유적에 따르면 지금까지 제주도에서 밝혀진 불교 사찰 터는 73곳에 이른다고 한다. 이곳은 고려시대 사찰 보문사(普門寺)가 있던 자리이다. 자료들을 종합해 볼 때 12세기에 창건되어 17세기에 폐사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절이 있던 곳은 해발 250m 정도 되는 곳이다.『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제주목에 있던 사찰이 총 15개가 기록되어 있는데, 그 중에 ‘普門寺在巨口里岳北’이라 기록되었다. 1653년 이원진의 『탐라지(耽羅志)』에도 총 22개의 사찰과 함께 기록되어 있는데 ‘普門寺在川東三十里’라고 되어 있다.
현재 보문사지로 알려진 것구리오름(꾀꼬리오름) 북쪽 기슭에 있는 경작지(약 3,000㎡)에는 청자흑백상감편, 청자참외모양병편, 분청사기인화문사발편, 백자 등의 도자기류를 비롯하여, 질그릇, 어골문기와편, 어골사각화문기와편, 어골정방십(×)자문기와편, 어골사각일(一)자문기와편, 어골정방선문기와편, 당초문기와편 등이 고루 확인되고 있다. 최근까지 기단석과 정초석들도 한 군데 쌓여 있었지만 현재는 모두 반출되었다. 절터의 북동쪽에 보문사지 원물이 보존되어 있다.
고려시대 때 혜일 선사가 보문사에서 참배하고 쓴 시가 전하고 있다.

寺僻依荒徼 (사벽의황요)
泉甘得夢中 (천감득몽중)
蓮場逢勝事 (연장봉승사)
佛隴嗣遺風 (불롱사유풍)
草過霜仍緑 (초과상잉록)
蘿因瘴未紅 (라인장미홍)
圓通門自啓 (원통문자계)
遠鴈叫長空 (원안규장공)

절은 초라하니 
거친 지경에 의지하였으나
샘물은 달디다니 꿈속에서 얻었네
연꽃 도량이 좋은 일을 맞았으니
불법의 유풍이 이어졌음이라
풀은 서리를 맞고도 
그대로 푸르지만
담쟁이는 풍토병 때문인가 
붉지 않구나
원통문이 스스로 열린 이곳에
멀리 기러기가 
넓은 하늘에서 울고 있어라

보문사지는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된 고려시대 사찰로서, 제주목과 정의현을 오가는 길에 설치된 동원(東院)과 함께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던 사찰로 추정된다. 절터의 북쪽에는 남양홍씨 문중이 설치한 보문사(普門祠)가 있다. (출전 : 고영철의 역사교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