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빠사나 길라잡이 [제2회 법문] 바른 견해正見란 무엇인가?
상태바
위빠사나 길라잡이 [제2회 법문] 바른 견해正見란 무엇인가?
  • 제주불교신문
  • 승인 2021.03.31 14: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법문 목차]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들어가는 말
2. 아비담마와 위빠사나의 관계
3. 위빠사나를 성취하기 위한 두 가지 길
4. 통찰지의 토양
5. 세 가지 관찰
6. 열 가지 위빠사나 지혜
7. 종성(種姓)의 마음
8. 도(道)의 마음
9. 반조의 지혜
10. 세 가지 해탈의 관문

불교는 부처님의 가르침입니다. 이 가르침을 담은 경은 우리에게 잘 알려진「초전법륜경」(S56:11)입니다. 이 경에서 세존께서는 중도라는 말씀으로 성스러운 팔정도와 불교의 진리인 사성제를 다섯 비구에게 최초로 밝히셨습니다. 
따라서 부처님이 깨달으셨고 존중하고 의지하여 머무시는 법은 교학으로서의 사성제와 수행으로서의 팔정도로 집약할 수 있습니다. 
한 때 세존께서는 꼬띠가마에 있는 왓지족들 사이에서 머물고 계셨습니다. 
거기서 수행승들에게 다음과 같이 설법을 하셨습니다.
“수행승들이여, 네 가지 고귀한 진리四聖諦를 알지 못하고 통찰하지 못했기에 그대들과 나는 오랫동안 윤회 속에서 헤맸다. 네 가지가 무엇인가? ①괴로움의 성스러운 진리苦聖諦, ➁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러운 진리苦集聖諦, ③괴로움의 소멸의 성스러운 진리苦滅聖諦, ④괴로움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 닦음의 성스러운 진리苦滅道聖諦이다.”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의 원어는 cattari ariya-saccāni(짯따리 아리야 삿짜니)이고, 영어로는 ‘four noble truths’로 표시합니다.
부처님께서는 우리들에게 세 번째 성스러운 진리인 닙바나(Nibbāna, 열반)를 실현하도록 사성제를 가르쳤습니다. 열반은 다시 태어남과 그것으로 인한 괴로움을 완전히 끝내는 것입니다. 
사성제는 부처님 가르침을 주제별로 모은『상윳따 니까야』의 대미를 장식하고 있는「진리 상윳따」(S56)의 근본주제이기도 합니다. 여기에는 131개의 경이 포함되어 있는데 삼매를 닦는 이유도 출가한 이유도 사성제를 꿰뚫기 위해서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여래, 아라한, 정등각자라고 부르는 이유도 사성제를 완전히 깨달았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부처님께서는 왜 자신이 깨달은 사람인가 하는 것을 『숫따니빠따』에서 게송으로 밝히셨습니다. 
“나는 알아야 할 바苦聖諦를 알았고, 닦아야 할 바道聖諦를 닦았고, 버려야 할 것集聖諦를 버렸다. 바라문이여, 그래서 나는 붓다. 깨달은 사람이다.”
붓다께서 천명하신 깨달음을 이루는 유일한 길은 우선 세간의 네 번째 성스러운 진리(Lokiya-magga sacca, 로끼야 막가 삿짜)인 팔정도, 즉 계(sīla, 실라)·정(samādhi, 사마디)·혜(pańńā, 빤냐)의 삼학을 배우는 것입니다. 
수행자가 계(도덕성)을 확립할 때 근접삼매와 본삼매인 선정(jhāna, 자나)을 계발할 수 있고, 그런 다음에 지혜 수행인 위빠사나(vipassanā) 수행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위빠사나 수행은 다름 아닌 괴로움의 성스러운 진리와 괴로움의 일어남의 성스러운 진리의 본성인 무상·고·무아를 깨닫는 것입니다.
여덟 가지의 도 닦음은 열반을 실현하기 위함인데, 그 준비단계로서 첫 번째와 두 번째 성스러운 진리(괴로움과 괴로움의 일어남)를 완전히 이해하여야 합니다.  
팔정도의 첫 번째 가지가 바른 견해(Sammā Ditthi, 삼마딧티)인데, 네 종류의 지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섯 취착의 무더기(오취온)인 괴로움의 고귀한 진리에 대한 위빠사나 지혜가 그 하나이고, 다섯 취착의 무더기의 원인을 식별하는 위빠사나 지혜가 그 둘이고, 다섯 취착의 무더기의 소멸, 즉 열반에 대한 깨달음과 지혜가 그 셋이고, 열반을 실현하도록 인도하는 수행의 길, 팔정도에  대한 지혜가 그 넷입니다.
부처님께서 괴로움의 성스러운 진리를 말씀하시면서 먼저 우리들에게 다섯 무더기, 즉 오온五蘊을 알고 보도록[知見] 가르치셨습니다. 우리 인간 세상은 색·수·상·행·식(오온)의 존재의 흐름이며 이를 알지 못하면 어리석은 범부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꽃 경」(S22:94)에서 천명하셨습니다. 
나아가 부처님께서「대념처경」(D22)에서 이 다섯 취착의 무더기[五取蘊]를 괴로움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따라서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는 세상의 실재는 오온이며, 이것이 첫 번째 성스러운 진리인 고성제입니다.
다섯 취착의 무더기 중의 첫째는 물질(rǔpa, 루빠)이고, 나머지 네 취착의 무더기들(느낌, 지각, 심리현상, 알음알이)은 함께 정신(nāma, 나마)이라 부릅니다. 이 정신과 물질을 있는 그대로 알고 보기 위해서 수행자는 그것들이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꿰뚫어 보는 법안法眼을 갖추어야 합니다.
부처님께서「세상 경」(S1:70)에서 “여섯에서 세상은 생겨났고 여섯 때문에 친교를 맺느니라. 여섯을 취착하여 세상은 전개되며 여섯에 세상은 시달리느니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여기서 앞의 ‘여섯’이란 눈·귀·코·혀·몸·마노[意]의 여섯 가지 안의 감각장소(아야따나, 處)를, 뒤의 ‘여섯’이란 형색·소리·냄새·맛·촉감· 법의 여섯 가지 밖의 감각장소를 말합니다.
안과 밖의 여섯 가지의 접촉을 통해 찰나적으로 보고 듣고 냄새 맡고 맛보고 만지고 알아차리는 여섯 가지의 마음이 일어납니다. 이것이 두 번째의 성스러운 진리입니다.   
우리 앞에서 펼쳐지는 세상이란 바로 이 세 가지의 법(蘊·處·界)을 통해서이고, 여기가 윤회의 장이고 사바세계의 현장입니다. 초기경전에서는 12가지 감각장소는 예외 없이 연기적 존재이고 조건발생이고 무아라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우리 인간이 숨 쉬고 있는 동안에 여섯 감관은 대상과 경계에 영향을 받아 시달리고 오염되어 있지만, 멈춤[止]과 통찰[觀]을 성취한 수행자의 감관은 티 없는 거울처럼 맑습니다. 
번뇌는 마음 밖 인연이 만들어내는 그림자일 뿐입니다. 진리에 대한 앎과 봄을 성취하려는 수행자는 여섯 악기가 연주하는 유희에 탐닉하지 않고, 법(dhamma, 담마)에 시선을 꽂을 수밖에 없습니다. 
팔정도는 불자라면 반드시 걸어야 할 길입니다. 그 시작도 중간도 끝 모두 마음에 달려 있습니다. 그 길이 갖추어야할 첫 번째의 조건은 존재의 본질에 대한 앎을 의미하는 정견입니다. 
그렇다면 정견이란 무엇인가? 『디가 니까야』(D22)에서는 사성제를 알고 보는 것이라고 가르치고 있습니다.『상윳따 니까야』(S22)에서는 ‘오온의 무상·고·무아’를 알고 보는 것이라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그분 부처님 공양 올려 마땅한 분, 바르게 깨달은 분께 귀의합니다.”
               ≪sati 행자의 복주석≫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