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에 담김 선취여행 ⑧ - 마음 비우고 사물에 얽매이지 않는 맑고 깨끗한 삶 누리고자
상태바
한시에 담김 선취여행 ⑧ - 마음 비우고 사물에 얽매이지 않는 맑고 깨끗한 삶 누리고자
  • 제주불교신문
  • 승인 2021.11.30 11: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곽경립 - 시인, 수필가
곽경립 - 시인, 수필가

왕유는 승려가 되지 않은 거사居士,《유마경維摩經》의 주인공 유마힐維摩詰을 자신의 자字로 삼음으로써 그 자신은 선과 문학을 통해 유마維摩의 길을 걷고자 했던 불교체험자였습니다. 시인은 젊은 한때 숭산崇山에 은거하여 도교사상에 심취하기도 했으나, 모친과 도광선사道光禪師의 영향을 받아 불법에 정진하였습니다. 특히 만년에는 망천輞川에 은거하여 세상과의 인연을 멀리했으며, 불교의 이치(佛理)와 계율을 자신의 생활 속으로 끌어들여 마음을 비우고 사물에 얽매이지 않는 맑고 깨끗한(淸淨) 삶을 누리고자 했습니다. 그의 이러한 심정이 담겨있는 시 한편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도일선사의 난야에서 묵으며                               

스님 머무시는 태백산 도량에는
산머리에 구름안개 피어오르고
맑은 기운 골짜기마다 흘러내려
꽃비는 한 봉우리로만 떨어진다.
스님은 흔적을 감춰 삼매에 드시니
명성은 가르침으로 전해지셨다.
새들은 벌써부터 불법을 들으려 찾아오고
객이 가고나면 다시 선정에 잠기신다.
낮에는 소나무 길 다 하도록 걸으시고
저녁이 되면 산사에 돌아와 머무시는데
선방은 그윽한 대숲 깊은 곳에 있어
고요한 밤이면 멀리 물소리 들려온다.
지난날 스님은 구름 놀 속에 계셨는데
지금 나는 스님의 침석 앞에 서있다.
어찌 잠시만 스님 곁에 머물러있으리
평생 불사를 따르며 여생을 보내리라.

投道一師蘭若宿 투도일사난야숙                        

一公樓太白 일공루태백
高頂出雲烟 고정출운연
梵流諸壑遍 범류제학편
花雨一峰偏 화우일봉편
迹爲無心隱 적위무심은
名因立敎傳 명인입교전
鳥來還語法 조래환어법
客去更安禪 객거경안선
晝涉松路盡 주섭송로진
暮投蘭若邊 모투난야변
洞房隱深竹 동방은심죽
淸夜聞遙泉 청야문요천
向是雲霞裏 향시운하리
今成枕席前 금성침석전
豈惟留暫宿 개유류잠숙
服事將窮年 복사장궁년

시인은 선어禪語를 사용하여 도일선사道一禪師의 훌륭한 불성을 높이 흠모하고 칭송하면서, 산사의 고요하고 그윽한 정취(幽靜)에 흠뻑 빠져듭니다. “지난날은 속세를 떠난 스님을 멀리서 바라보기만 했는데, 지금은 스님의 곁에 있으니 얼마나 행복한가,” 속세의 미련을 훌훌 털어버린 시인은 “어찌 잠시 머물기만 하겠는가, 평생 나도 불법을 섬기며 이와 같이 살고 싶다.”고 속마음을 털어놓음으로써 자신의 진솔한 심경을 드러내고 있는 것입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