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베트불교 수행법(25)
상태바
티베트불교 수행법(25)
  • /제주불교
  • 승인 2010.12.07 15: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티베트불교의 수학 과정-8

3. 쫑카빠와 《보리도차제광론》-3



(2) 《보리도차제광론》-2



2)본수행-1



① 작은 사람의 길

현생의 안락(安樂)만을 추구하는 작은 사람들에게는 먼저 다음 세상을 추구하는 마음을 일으키는 것과 다음 세상에서 안락해지는 방편을 설명하는 것 두 가지가 필요하다.



ㄱ. 다음 세상을 추구하는 마음을 일으키는 것.

다음세상을 추구하는 마음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먼저 이 세상에 오랫동안 머물지 못한다고 생각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반드시 죽는다고 생각하는 것, 죽는 때가 정해져 있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 죽을 때에는 법 이외에 다른 어떤 것도 도움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세 가지가 필요하다.

반드시 죽는다고 생각하는 것은 죽음 자체는 반드시 오고, 그것을 다른 것으로 없앨 수 없으며, 수명을 연장할 수 없고, 수명이 줄어드는 것을 끊을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따라서 살아 있을 때에도 한가한 시간이 없도록 반드시 죽는다고 생각해야 한다.

죽을 때가 정해져 있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은 남섬부주의 수명에는 결정된 것이 없기 때문에 언제 죽을지 모르고, 죽은 인연은 많고 살 수 있는 인연은 너무 적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죽을 때 법 이외에는 다른 어떤 것도 도움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은 오직 법 이외에는 몸도, 돈도, 명예도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ㄴ. 다음 세상에서 안락해지는 방편을 설명하는 것.

다음 세상에서 안락해지는 방편을 설명하는 것에는 ㉠가르침에 들어가는 문인 귀의(歸依)를 배우는 것과 ㉡모든 안락의 근본인 믿음을 일으키는 것이 있다.

㉠귀의를 배우는 것

귀의를 배우는 것에는 귀의할 대상을 결정하는 것, 그것이 구제할 수 있는 이유, 귀의하는 방법, 귀의하고 나서 배우는 차례의 넷이 있다.

악도의 고통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기 위해서는 두려움을 없애줄 수 있는 대상에게 귀의하는 마음을 일으켜야 한다. 따라서 조그만 허물도 없고 모든 공덕을 가진 불․법․승 삼보를 귀의할 대상으로 결정하고 귀의해야 한다.

삼보에게 귀의할 수 있는 것은 스스로 두려워하는 모든 것에서 벗어났고, 다른 사람의 두려움을 없앨 수 있는 방편이 뛰어나고, 모든 이들에게 멀고 가까움 없이 대비를 베풀고, 모든 이들을 위해 애쓰기 때문이다.

바르게 귀의하기 위해서는 먼저 삼보의 공덕을 알아야 한다.

부처님의 공덕에는 32상 80종호로 장엄된 몸의 공덕, 하나의 말씀을 일체 중생들이 이해하는 말씀의 공덕, 지혜와 대비를 구족한 마음의 공덕 등 한량없는 공덕이 있다.

법의 공덕은 법을 수습하라 때 생기는 공덕이고, 승의 공덕은 법의 가르침을 잘 증득한 것이다.

그 다음에는 부처님은 도사(導師)이고, 가르침은 실제적으로 구제하는 것이고, 승중은 돕는 분이라는 것을 인정하고, 다음에는 외도의 도사와 가르침 등과 다른 점을 앎으로써 귀의하는 마음을 버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모든 안락의 근본이 되는 인과를 신뢰하는 마음을 일으키는 것.

선업과 악업에서 괴롭고 즐거운 과보가 각각 생긴다.

업을 쌓으면 반드시 그 과보가 생기고, 과보를 받기 전에는 업은 소멸되지 않는다.

행하지 않은 업의 과보는 없기 때문에 악업과 선업의 본질과 그 과보에 대해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

a.악업

악업과 선업을 십업도로 설명한다.

탐․진․치 등의 마음을 일으켜 다른 유정(有情)을 칼 등으로 죽이는 것이 살생이다. 다른 사람이 주지 않는 물건을 가지는 것이 훔치는 것이다. 관계해서는 안 되는 사람 등과 관계하는 것이 사음이다. 본 것을 보지 않았다고 몸 등으로 표현하는 것이 거짓말이다. 화목하거나 미워하는 중생을 갈라놓는 것이 두 말〔兩舌〕이다. 분한 마음으로 험한 말, 거친 말을 하는 것이 욕설이다. 관련 없는 것을 거짓으로 꾸며 하는 말이 꾸밈말이다. 다른 사람이 가진 보물과 물건이 나의 것이 되었으면 하고 원하는 것이 탐하는 마음이다. 자신이나 타인이 가진 것에 손해가 있어도 상관없다고 생각하고서 분한 마음을 일으키는 것이 성내는 마음이다. 없는 것을 있다고 하는 증익(增益)된 것을 실재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 어리석은 마음이다.

악업을 지으면 이류(異類)의 결과를 낳는 이숙과(異熟果), 동류(同類)의 결과를 낳는 등류과(等類果), 다른 일체법의 수승한 힘에 의한 결과인 증상과(增上果)의 세 가지 과보를 받는다.

이숙과는 큰 살생의 열 가지는 지옥, 가운데 열 가지는 아귀, 작은 열 가지는 축생에 태어나는 것이다. 등과류는 살생은 단명하고, 훔치는 것은 재물이 궁핍하고, 사음은 아내를 지키지 못하고, 거짓말은 비방이 늘어나고, 두 말은 친구와 멀어지고, 욕설은 좋지 않은 것을 말하고, 꾸밈말은 말을 듣지 못하고, 마음의 세 가지는 집착․성냄․어리석음의 셋이 차례로 생기는 것이다.

증상과는 살생에는 다음 세상에 음식과 약의 효력이 적은 것이고, 훔치는 것은 가뭄․홍수․과일이 적은 것 등이다.

b. 선업

선업은 살생이나 주지 않는 것을 가지는 것 등을 허물로 보는 마음으로 십악업을 바르게 조복하는 행을 실천하는 것과 조복을 완성한 신업(身業)이다.

선업의 결과로 사람, 욕계천, 상2계에 태어나는 이숙과를 얻고, 선하지 못한 것을 모두 없애는 등류과와 증상과를 얻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